- Published on
[AWS Beginner] Region, Availability Zone, Edge Location
- Authors
- Name
- Easyoon
[AWS 자격증] 리전, 가용영역, 엣지로케이션
- AWS history
- 2002년 Amazon.com의 부속 기능으로 출발
- 2006년 첫번째 클라우드 제품 출시 (S3/EC2 등)
- 2009년 VPC 발표
- 2013년 자격증 도입
- 2020년 53조 돌파, 꾸준히 성장중
- AWS Service의 리전, 가용영역, 엣지로케
AWS의 서비스는 전세계적으로 여러개의 걱 지역별 리전으로 나누어져 있다
리전(Region)
- AWS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버(데이터 센터)의 물리적 위치로, 각 리전에는 고유의 코드가 부여된다
- 각 리전별로 사용이 가능한 서비스가 다르다. (만약, 국내에서 사용할 수 없는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엔 리전코드를 바꿔서 접근하면 된다)
- 서울 리전 고유코드 : ap-northeast-2
- 리전 코드 AP에 속해있는 나라 : 중국, 호주 등
- 미국 동부 리전: us-east-1 (AWS의 모든 서비스가 가장 처음 릴리즈 되는 리전으로, 가장 중요한 리전)
리전을 선택할 때 고려할 점
- 지연 속도 (내가 속해있는 국가의 리전을 사용하는 게 가장 빠름)
- 법률(데이터 제공, 서비스 제공 관련 정책들)
- 사용 가능한 AWS 서비스
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)
- 리전의 하부 단위로, 하나의 리전은 반드시 2개 이상의 가용영역으로 구성
- 가용영역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센터로 구성
- 리전간의 연결은 매우 빠른 전용 네트워크로 연결된다
- 여러 재헤에 대한 대비 및 보안을 위해 가용영역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일정 km이상 떨어져있으며, 동시에 서로 100km이내의 거리에 위치한다
- 보안 및 트레픽 몰림을 방지하기 위해, AWS의 계정주가 선택했던 각각의 가용영역의 코드(AZ-A, AZ-B, AZ-C 등)는 문자 코드가 같다 하더라도 실제 배정되는 데이터센터의 위치와 다르다. 예시: 계정 test1의 AZ-A(가용영역-A)는 계정 test2와 AZ-A와 다른 위치다(랜덤 배정)
리전과 가용영역 별로 구분한 WS서비스
- 리전이 존재하지 않은 서비스 : IAM / Amazon Cloud Front
- 리전에 속해있는 서비스 : VPC, S3 (S3는 글로벌 서비스이나, 데이터가 각 리전에 종속되어있다)
- 리전 내 가용영역A에 속해있는 서비스: RDS
- 리전 내 가용영역B에 속해있는 서비스: EC2
** 엣지 로케이션 **
- AWS의 CloudFront(CDN, 임시 저장 공간)등의 서비스를 가장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 캐싱을 해 두는 거점
- 전 세계에 흩어져있음
- 메인 리전에 트래픽이 몰리는 걸 방지할 수 있고, 엣지 로케이션과 가까운 거점일수록 서비스를 더 빠른 속도로 제공 받을 수 있다
- CDN을 위한 거점
글로벌 서비스와 리전 서비스
- 글로벌 서비스 : 데이터와 서비스를 전 세계의 모든 인프라가 공유 (CloudFront, IAM, Route53, WAF)
- 지역 서비스 : 특정 리전을 기반으로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 (대부분의 서비스, S3)
ARN (Amazon Resource Name)
- AWS의 리소스는 모두 ARN이 부여됨
- Format : arn:[partition]:[service]:[region]:[acount_id]:[resource_type]/resource_name/(qualifier)
- 예시
- arn:aws:s3:::test_bucket/text.txt
- arn:aws:dynamodb:ap_northeast_02:123456789012:table/*
- 위의 예시처럼 맨 끝에 와일드카드()를 붙여 다수의 리소스를 지정할 수 있다. (캐시 무효화 : /)